이재현 (187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재현은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1870년 경기도 계양에서 출생했다. 완평군 이승응의 아들이자 종정원경 이낙응의 양자로, 1891년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승정원 동부승지 등을 거쳤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궁내부 특진관, 경상남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으며, 의정부 찬정을 지냈다. 한일 병합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계동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재단이사장을 역임하며 사회사업에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세기 사망 - 현영운
현영운은 조선 말기,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 걸쳐 활동한 관료이자 군인으로, 일본 유학 후 개화파 관료로서 외교 분야에서 활동했으며 이토 히로부미의 수양딸 배정자의 남편이었다. - 20세기 사망 - 유기환
유기환은 대한제국 시기 관료로, 신사유람단 수행, 궁내부 대신 서리, 법부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고종의 황제 즉위 상소를 올렸으나 거절당하고 김홍륙 독살 모의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헌의 6조에 반대하여 유배형을 받기도 했다. - 대한제국의 정치인 - 안창호
안창호는 평안남도 출신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사상가로서, 서양식 교육과 기독교 입교 후 독립협회 활동, 대한국민회 설립 등 해외 독립운동, 신민회 조직, 흥사단 재건 등 국내외 민족 교육과 계몽 운동에 헌신하며 민족 개조를 주창하고 이상촌 건설을 추진하다 일제의 탄압으로 옥중에서 병사하였다. - 대한제국의 정치인 - 김구
김구는 한국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통일운동가로서, 동학 입교, 치하포 사건,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인애국단 조직, 한국광복군 창설 등의 활동을 전개하다 안두희에게 암살당했다. - 조선의 관료 - 박성빈 (조선)
박성빈은 1871년에 태어나 무과에 급제하고 동학 농민 운동에 가담했으며, 아들 박정희는 대통령이 되었다. - 조선의 관료 - 김응우
김응우는 김일성의 고조부로 평안도 대동 출신이며, 북한에서는 제너럴 셔먼호 격침에 기여했다고 주장하나 역사적 사실과 다르다는 비판이 있고, 김일성 가문으로 이어진 전주 김씨이다.
이재현 (1870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개인 정보 | |
이름 | 이재현 |
원래 이름 | 李載現 |
작위 | 대한제국 칙임관(大韓帝國 勅任官) |
출생일 | 1870년 |
출생지 | 조선 경기도 인천 계양 사저 |
왕조 | 대한제국 황실 |
가문 | 전주 이씨 |
사망일 | ? |
정당 | 무소속 |
서훈 | 1988년 서울재동초등학교 명예 졸업장 추서 |
자녀 | 이봉창(양자) |
아버지 | 이낙응(양부) |
친아버지 | 완평군 이승응(생부) |
친조부 | 이도식 |
2. 생애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본관은 전주 이씨이다. 생부는 장조의 서자였던 은전군의 손자 완평군 이승응이며, 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인 종정원경(宗正院卿) 이낙응에게 양자로 입적되었다. 1870년 경기도 계양에서 태어나 한성부에서 성장하였다.
1888년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고, 이후 1891년 문과 응제시와 1892년 문과 별시에 급제하여 홍문관 교리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다. 대한제국 시기에는 궁내부 특진관, 시강원 첨사, 경상남도 관찰사, 의정부 찬정 등 고위 관직을 두루 거쳤다.
1910년 한일 병합 이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사회사업에 힘썼으며, 특히 계동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재단이사장을 맡는 등 교육 분야에 기여하였다. 말년에는 경성부 계동에 거주하다 별세하였다.
2. 1. 가계 배경
조선 후기의 종친으로 본관은 전주 이씨이며, 이름은 재현(載現)이다. 생부는 장조의 서자였던 은전군의 손자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이다. 선조의 9남 경창군의 후손이자 생가의 숙부(淑父)였던 종정원경(宗正院卿) 이낙응(李洛應)의 양자가 되었다.1870년(고종 7년) 경기도 계양의 사저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 한때 경기도 부평에서 잠시 지내다가 한성부의 사저에서 성장하였다.
2. 2. 관직 생활
1888년 음서로 천거되어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3년 뒤인 1891년(고종 29년) 유학(幼學) 신분으로 문과 응제시 경과(文科 應製試 慶科)에 합격하고 곧바로 전시(殿試)에 나아갔다. 이듬해 1892년에는 문과별시(文科別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같은 해 5월 27일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에 임명되었다. 정언을 거쳐 1893년(고종 30년) 2월 25일 다시 홍문관 교리가 되어 옥당(玉堂)의 연차(筵次)에 참여했을 때, 동학(東學) 세력의 지도자를 섬멸해야 한다는 상소를 올렸다.1894년(고종 31년) 7월 12일에는 승정원 동부승지(承政院同副承旨)에 임명되었고, 1895년(고종 32년) 10월 15일에는 종척 집사(宗戚執事)를 맡았다. 1896년(건양 1년) 3월 1일에는 혼전(魂殿)의 향관(享官)으로, 1897년(광무 1년)에는 사직(社稷) 신위 서사관(神位書寫官)으로 임명되었다.
대한제국 시기의 주요 관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주요 관직 | 비고 |
---|---|---|
1898년 | 사직서 제조 | 칙임관 4등 |
1898년 | 경모궁 제조 | |
1898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4등 |
1898년 | 시강원 첨사 | 칙임관 4등 |
1899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4등 |
1899년 | 시강원 첨사 | 칙임관 4등 |
1900년 | 순천군수 | |
1900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4등 |
1901년 | 상주군수 | |
1901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4등 |
1901년 | 경상남도 관찰사 | |
1902년 | 경상남도 지계감독 | |
1903년 | 궁내부 특진관 | |
1904년 | 종척집사 | |
1904년 | 혼전 제사관 | |
1904년 | 비서원경 | |
1904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3등 |
1904년 | 동지돈령원사 | |
1904년 | 비서원경 | 칙임관 3등 |
1904년 | 시강원 첨사 | 겸임 |
1904년 | 의정부 찬정 | |
1905년 | 비서원경 | 칙임관 2등 |
1905년 | 시강원 첨사 | |
1905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1등 |
1905년 | 예식원 장례경 | 칙임관 2등, 시강원 첨사 겸임 |
1906년 | 궁내부 특진관 | 칙임관 2등 |
의정부 찬정(贊政)을 지낸 후, 한일 합방 이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사회사업에 힘쓰다가 별세했다. 말년에는 경성부 북부 계동에 거주하며 계동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재단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2. 3. 대한제국 시기 활동
대한제국이 선포된 1897년(광무 1) 이후 이재현은 다양한 관직을 역임하며 활동했다.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다.연도 | 날짜 | 주요 경력 | 비고 |
---|---|---|---|
1897년 | - | 사직 신위 서사관(社稷神位書寫官) 임명 | |
1898년 | 1월 16일 | 사직서 제조(社稷署提調) 임용 | 칙임관(勅任官) 4등 |
1월 24일 | 경모궁 제조(景慕宮提調) 역임 | ||
12월 6일 |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 임용 | 칙임관 4등 | |
12월 21일 | 시강원 첨사(侍講院詹事) 임용 | 칙임관 4등 | |
1899년 | 4월 17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4등 |
5월 24일 | 시강원 첨사 임용 | 칙임관 4등 | |
1900년 | - | 순천군수(順天郡守) 역임 | |
10월 20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4등 | |
1901년 | - | 상주군수(尙州郡守) 역임 | |
10월 14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4등 | |
10월 20일 | 경상남도 관찰사(慶尙南道觀察使) 역임 | ||
1902년 | 12월 18일 | 경상남도 지계 감독(地契監督) 역임 | |
1903년 | 8월 21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
1904년 | 1월 2일 | 종척 집사(宗戚執事) 임명 | |
4월 26일 | 혼전(魂殿) 제사관(祭祀官) 역임 | ||
5월 22일 | 비서원경(祕書院卿) 임명 | ||
10월 21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3등 | |
10월 22일 | 동지돈령원사(同知敦寧院事) 임명 | ||
11월 3일 | 비서원경 임용 | 칙임관 3등 | |
11월 5일 | 종척 집사(宗戚執事) 임명 | ||
12월 20일 | 시강원 첨사 겸임 | ||
12월 30일 | 의정부 찬정(議政府贊政) 임명 | ||
1905년 | 1월 5일 | 비서원경 임용 | 칙임관 2등 |
1월 12일 | 시강원 첨사 역임 | ||
1월 15일 | 비서원경 제수 | ||
2월 11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1등 | |
2월 18일 | 시강원 첨사 임용 | 칙임관 2등 | |
3월 26일 | 예식원 장례경(禮式院掌禮卿) 임용, 시강원 첨사 겸임 | 칙임관 2등 | |
5월 1일 | 시강원 첨사 임용 | 칙임관 2등 | |
1906년 | 2월 8일 | 궁내부 특진관 임용 | 칙임관 2등 |
이후 의정부 찬정(贊政)을 지냈으며, 1910년 한일 병합 이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사회사업에 힘썼다. 말년에는 경성부 북부 계동에 거주하며 계동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재단이사장을 맡기도 했다.
2. 4. 말년
의정부 찬정(贊政)을 지냈으며, 한일 병합 이후에는 관직을 사퇴하고 사회사업에 힘썼다. 말년에는 경성부 북부 계동에 거주하며 계동사립보통학교를 설립하고 재단이사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 사업에 기여하였다. 이후 별세하였다.3. 가족 관계
- 양부: 종정원경(宗正院卿) 이낙응(李洛應) - 선조의 9남인 경창군의 8대손이다.
- 양모: 미상
- 생부: 완평군 이승응(完平君 李昇應, 1836년 ~ 1909년)
- 생모: 미상
- 형: 인양군 이재근(仁陽君 李載覲, 1857년 ~ 1896년)
- 동생: 의양군 이재각(義陽君 李載覺, 1874년 ~ 1935년)
- 동생: 예양정 이재규(禮陽正 李載規, 1877년 ~ ?년)
- 부인: 미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